[뉴스초점] 신규확진 38만1,454명…위중증 1,049명<br /><br /><br />오미크론 확산세가 거세게 이어지면서, 어제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38만1,454명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 수는 연일 네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중증 환자 병상 부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모레 월요일부터는 사적모임이 기존 6명에서 8명까지 허용되는데요.<br /><br />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감염내과 전문의와 코로나 상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당초 정부는 오는 23일 전후로 하루 확진자가 최대 37만 명 수준에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전환할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. 하지만 확진자 수는 이미 정부 예측을 빗나간 상태인데요. 그렇다면 23일 전후라는 정점 시점 예측에 대해서는 정확성이 있다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8명 모임을 허용하는 새로운 거리두기 조정안을 시행합니다. 지금까지의 대규모 유행을 보면 꼬리가 점점 길어지는 공통된 양상을 보여왔습니다. 정부는 정점을 지나면 더 과감하게 방역을 완화하겠다고도 했는데요. 유행을 지나 하강 국면에서 고려해봐야 할 변수는 없겠습니까?<br /><br /> 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코로나19 심각성을 과소평가했을 수 있다고 방역 완화 중단을 촉구했습니다. 지금의 사망자 수로도 인구 대비 전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여기엔 짧은 격리 기간 해제 후 사망한 사람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건데요. 통계적 착시로 인한 상황 판단 오류가 실제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이른바 '샤이 오미크론' 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 진단키트 검사 결과 두 줄이 나왔지만 이를 확정하는 PCR 검사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지 않고 일상생활을 이어가는 사람인데요. 증상이 크게 없다면 일주일 격리로 입을 피해를 더 크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. 이런 현상을 막을 방도는 없을까요?<br /><br /> '샤이 오미크론'까지 고려하면 확진자는 이미 하루 100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는데요. 그런데도 정부는 모레 21일부터 사적 모임 제한을 6명에서 8명으로 확대합니다. 거리두기는 계속 풀어지는데 방역 구조상 '샤이 오미크론'을 걸러낼 장치는 없는 것 아닙니까?<br /><br />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코로나19 재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. 델타 변이 유행 때와 비교하면 재감염자 수가 2배가량 늘었다는 보도도 있는데요. 오미크론 변이의 특징일까요. 이유를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 번 걸렸다 회복한 사람은 이른바 '슈퍼 면역'을 갖게 된다는 얘기가 있지 않습니까, 확진 경험이 있더라도 재감염의 위험은 항상 있다고 볼 수 있나요?<br /><br /> 마스크 착용 의무와 확진자 자가격리 등 모든 방역 규정을 푼 영국에서 감염이 다시 늘고 있습니다. 이에 영국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사의 항체 치료제 '이부실드'를 긴급 승인했는데요. 미국 정부도 도입 가능성을 시사했는데 아직 국내에서는 효과입증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더라고요?<br /><br /> 이스라엘에서 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습니다. 기존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이 결합한 형태인데요. 기존 코로나19 변이가 새로운 변이와 결합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의견도 있는데 크게 두려워하지 않아도 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